▶ 발간 : 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목적
본 가이드는 전자정부사업의 관리·감독 업무를 외부에 위탁하는 행정 및 공공기관의 정보화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며, 발주기관이 PMO 도입 시 참고할 수 있도록 PMO 도입·운영에 관한 방법·절차 등 세부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MO 도입·운영 시 정보화사업 추진단계별 발주기관의 수행업무 제시
- PMO 도입·운영 시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법령 및 지침 안내
▶ 목차
Ⅰ. 개요
1. 목적 | 9
2. 가이드의 구성 | 9
3. 용어 정의 | 10
4.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PMO) 제도 | 11
Ⅱ. PMO사업 준비 (A000)
1. PMO사업 도입 검토(A100) | 25
2. PMO사업 발주 및 계약(A200) | 34
3. PMO사업 착수(A300) | 56
Ⅲ. PMO사업 운영(B000)
1. PMO대상사업 기획단계(B100) | 65
2. PMO대상사업 집행단계(B200) | 95
3. PMO대상사업 사후관리단계(B300) | 102
Ⅳ. PMO사업 종료(C000)
1. PMO사업 종료(C100) | 109
Ⅴ. 부록
1. PMO대상사업 집행단계(B200)에서의 PMO사업자 수행업무 | 121
2. 전자정부법 및 시행령 대비표 | 153
3.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에 관한 규정[고시] | 157
4.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용역계약 특수조건[예규] | 167
5. 별지 서식 | 173
▶ 활용방법
앞에서 차례로 보기보다는, 뒤의 별지서식을 참고하여 앞의 설명 내용과 대조하면서 보면 더 이해가 잘 된다.
별지서식에는 PMO 도입 검토결과서, 사업계획서, 제안요청서 등이 있어, 사업수행시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착수서류, 검사확인서 등을 수행업체에게 받으면 된다.
'정보화 사업 > 사업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진단 가이드(21년 3월) (0) | 2021.05.11 |
---|---|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 관리 가이드 (2021년 1월) (0) | 2021.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