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2

한국문학의 이해 중간고사 대비,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화영역 기출 정리 [15회] 17. 한국의 신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는 건국신화이다 X 2)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수로는 알에서 태어났다. O 3) 건국신화는 비극적 세계관을 중심 토대로 삼고 있다. X 4) 삼국사기에 따르면 주몽은 풍백, 운사, 우사를 거느리고 지상에 내려왔다. X [14회] 1. 신라시대 향가가 아닌 것은? 1) 혜성가 2) 청산별곡 / 고려가요 3) 우적가 4) 찬기파랑가 4. 가전 작품과 그 작품에서 의인화한 대상의 연결이 옳은 것? 1) - 돈 / 술 2) - 술 / 돈 3) - 지팡이 4) - 사자 / 거북이 5. 판소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 판소리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순으로 빨라진다. 2) 판소리 창자가 본 공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해 부르.. 2021. 4. 8.
한국문학의이해 5강 중간고사대비 정리 1. 고전문학 교육의 가치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교재, 인류사적 고전, 간접적 통합적으로 배울 수 있음 (담화맥락) 2. 문학작품 선정 기준 1) 라자르 코스의 유형 : 숙달도, 학습이유, 언어의 종류, 코스의 길이/강도 학생의 유형 : 나이, 지적 성숙도, 정서적 이해, 문화적 배경, 언어적 유창성 기타 텍스트 관련 요소 : 텍스트 이용의 유용성, 텍스트 길이, 개발 가능성 2) 홍혜준 문화모델 : 한국문화교육의 측면 언어모델 : 언어교육의 측면, 독특한 언어유희, 말장난, 리듬, 동사 구조 인간성장 모델 : 충, 효, 예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화영역 기출 1. 현전하는 고대가요 중 주술성이 강하고 집단적으로 불러진 노래 : 구지가 2. 향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연 구분이 있다 X (.. 2021.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