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개론3 3강 : 한글 자모 교육 방법 담당교수님 : 이은경 평가 방법 : 중간(35) 기말(35) 토론(10) 수업참여도(10) 출석(10) 1. 훈민정음 창제 원리 1) 초성 17자 : 조음 기관을 본떠 만든(상형) 기본 자음에 가획의 원리를 적용함 2) 중성 11자 : 아래아, ㅡ, ㅣ 를 기본 모음에 초출, 재출을 통해 만듦 3) 종성 : 종성은 초성을 다시 쓰도록 함(종성부용초성) 2. 한글의 특징 - 표음문자(음소문자)이자 자질문자이다. - 과학적이고 경제적이다. 3. 한글 자모 교수법 - 글자의 모양과 소리의 관계를 알려 주고 쓰는 방법과 듣고 읽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학습시킨다. - 모음부터 가르친 후에 자음을 가르친다. 1. 한국어 아니고 한글을 만들었음 3. 자음은 독립적으로 소리를 내기 어려우므로, 모음을 가르친 후 모음과 .. 2021. 3. 16. 2강 : 한국어 학습자와 교육 내용의 이해 담당교수님 : 이은경 평가 방법 : 중간(35) 기말(35) 토론(10) 수업참여도(10) 출석(10) 1. 한국어 학습자의 이해 1) 한국어 학습자란? 한국어를 외국어(혹은 제2언어)로서 배우는 사람 2) 한국어 학습자의 분류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 -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 -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 : 교포나 입양 3)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적, 심리적 고려 사항 - 생물학적/민족적 특성 : 성별, 국적(민족) - 지적 특성 : 나이, 지능, 학력 - 인지 양식(학습 양식) : 제시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과 주어진 가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다양한 전략 - 심리적 특성 : 학습에 대한 불안감, 학업적 자아개념, 통제의 소재 - 선수 학습 정도 : 이전의 외국어 학습 경험, 한국.. 2021. 3. 16. 1강 : 한국어 교육의 이해 담당교수님 : 이은경 평가 방법 : 중간(35) 기말(35) 토론(10) 수업참여도(10) 출석(10) 1. 한국어 교육의 개념 - 한국어를 모어로 하지 않는 사람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이므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국어 교육과는 구별된다. * 한국어 교사란 한국어를 모어로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람을 가리킨다. 2. 한국어 교사의 자질 - 한국어에 관한 지식 : 한국어학, 한국문학 - 언어교수법에 대한 지식과 한국어 교수 방법에 관한 실무적 지식 : 언어습득론, 언어 교수 방법, 한국어(발음, 아휘, 문법) 교수법 -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 : 한국 문화, 다문화 사회 - 타 언어 및 문화에 대한 관심 : 외국어 지식, 외국어 학습 경험, 타.. 2021. 3.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