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종사이버대학교한국어학과2

한국문학의 이해 2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 1. 상고 시대의 문학 : 집단 → 개인 1) 한국 문학의 태동 : 고려 건국 이전까지의 시기 표현할 말은 있으나 기록할 문자는 없음 신라시대에는 한자를 활용한 한국어 표기법인 향찰 표기 등장, 향가 창작 활발 아시아의 공통 문자였던 한자가 전래되어 한시가 더러 창작되기도 하였음 이 시기의 작품은 구전된 것으로, 그 원형을 밝히기 어려우며, 현재 전해지는 것은 모두 후대에 정리/기록된 것 2) 시가 문학 : 고대 가요(공무도하가, 황조가 > 구지가), 향가, 한시 3) 서사 문학 : 설화(신화, 전설, 민담), 수필 2. 고려시대의 문학 1) 한문학 번성기 : 조선 건국 이전까지의 시기 신라의 쇠락과 함께 향찰 사용 및 향가 창작 또한 쇠퇴 향찰 표기 상실로 인해 한국 문학은 다시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2021. 4. 8.
한국어어휘교육론 1강 정리, 평가문제 벌써 중간고사 기간이 다가왔더라구요. 한과목씩 중간고사 대비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어어휘교육론 1강부터 정리해 볼게요. 1. 한국어 어휘의 특징 - 첨가어, 조사에 의해 문법 관계를 나타냄 -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가 3종 체계, 유의어 많고, 동음이의어도 많음 - 높임과 겸양 표현 (존함, 저희) - 의성어, 의태어 다양 - 기초어휘에서는 고유어, 전문 어휘에서는 한자어, 외래어(소금/염화나트륨) - 감각어 발달 (붉다, 불그스름하다, 불그죽죽하다) - 친족어 발달 (언니, 오빠, 큰엄마, 고모, 이모) 2. 어휘 교육의 중요성 - 어휘는 의사소통에서 재료와 같은 역할 - 어휘 : 살, 내용, 재료 / 문법 : 뼈, 그릇, 요리 → 문법이 없으면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없지만, 어휘가.. 2021.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