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17

한국문학의 이해 중간고사 대비,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화영역 기출 정리 [15회] 17. 한국의 신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는 건국신화이다 X 2)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수로는 알에서 태어났다. O 3) 건국신화는 비극적 세계관을 중심 토대로 삼고 있다. X 4) 삼국사기에 따르면 주몽은 풍백, 운사, 우사를 거느리고 지상에 내려왔다. X [14회] 1. 신라시대 향가가 아닌 것은? 1) 혜성가 2) 청산별곡 / 고려가요 3) 우적가 4) 찬기파랑가 4. 가전 작품과 그 작품에서 의인화한 대상의 연결이 옳은 것? 1) - 돈 / 술 2) - 술 / 돈 3) - 지팡이 4) - 사자 / 거북이 5. 판소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 판소리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순으로 빨라진다. 2) 판소리 창자가 본 공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해 부르.. 2021. 4. 8.
한국문학의이해 5강 중간고사대비 정리 1. 고전문학 교육의 가치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교재, 인류사적 고전, 간접적 통합적으로 배울 수 있음 (담화맥락) 2. 문학작품 선정 기준 1) 라자르 코스의 유형 : 숙달도, 학습이유, 언어의 종류, 코스의 길이/강도 학생의 유형 : 나이, 지적 성숙도, 정서적 이해, 문화적 배경, 언어적 유창성 기타 텍스트 관련 요소 : 텍스트 이용의 유용성, 텍스트 길이, 개발 가능성 2) 홍혜준 문화모델 : 한국문화교육의 측면 언어모델 : 언어교육의 측면, 독특한 언어유희, 말장난, 리듬, 동사 구조 인간성장 모델 : 충, 효, 예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화영역 기출 1. 현전하는 고대가요 중 주술성이 강하고 집단적으로 불러진 노래 : 구지가 2. 향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연 구분이 있다 X (.. 2021. 4. 8.
한국문학의이해 4강 중간고사대비 정리 1. 양란 이후 조선 후기의 시대적 상황 1) 정신적 충격 왕조 체제의 한계 체감 양반 귀족 계층의 무력감 절감 잠든 지성의 발견 2) 서민 의식 성장 현실자각 (삶을 스스로 지켜야 함) 의병 봉기 및 민란의 속출 비판 의식 고조 및 실학사상 발현 2. 조선 후기 문학사적 특성 1) 조선 전기 귀족 중심의 상류층 문학 태평 성대의 강호시가적 특성 관념적, 이념적 숭고미, 우아미, 비장미(경건함) * 김시습 한문소설 ------------------------------------ 2) 조선 후기 향유층 확대 및 평민 문학 대두 문학의 사회비판적 기능 확대 일상적, 현실적 희극미, 골계미(풍자와 해학) 허균 : 최초 한글 소설, 사회 현실 바탕 김만중 , : 허균 소설과 조선후기 실학 문학 이어주는 가교 .. 2021. 4. 8.
한국문학의 이해 3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 1. 조선 전기 시대적 배경 및 문학사적 특성 [핵심어] 건국, 사대부, 유교 사상(성리학), 훈민정음 창제(1443)/반포(1446), 소설, 여성 작가 2. 조선 전기의 시가 문학과 서사 문학 1) 시가 문학 : 악장, 가사, 시조, 기타(경기체가, 한시, 언해) 고려 후기의 문학 계승 및 독자적 발전 시조의 발전 : 영남가단, 호남가단과 같은 시조 동호회 등장 여성의 문학 참여 확대 : 황진이, 매창(계랑), 홍랑 등 2) 서사 문학 : 소설의 등장, 패관문학, 평론 등 최초의 소설 : 김시습의 한문단편소설집 3. 조선 전기 문학의 대표 작품 감상 1) 악장 : 한국 문학사상 최초의 국문 시가 (해동 육룡이 나르샤~) 2) 가사 : 조상들의 전통적인 자연관을 보여주는 (홍진에 뭇친 분네~) 3) 시.. 2021.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