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의 목적
ㅇ 고품질의 공공데이터 제공 및 활용을 위하여 정보시스템 계획 단계부터 선제적인 품질관리를 시행하여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 및 관리
-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운영시스템의 성능과 서비스 진행, 보안 등 다양한 사유로 데이터 품질 저하 요인의 근본적 원인 해소 및 품질 개선 한계
- (시스템 구축 후 품질관리) 정보시스템 '운영' 단게에서 제공 중인 데이터의 품질을 관리하는 활동으로 품질 개선을 위한 예산 부담이 크고 운영 시스템은 품질 개선 활동 곤란
- (시스템 구축 전 품질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계획을 수립하는 ISP, ISMP 등 '계획' 단계부터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하여 품질 요구가 반영된 RFP의 작성으로 고품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유도
[목차]
제1장 예방적 품질관리 개요
1.1 목적 및 근거
1.2 품질관리 수행 내용
1.3 진단 대상 및 방법
1.4 관련 지침
제2장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2.1 예방적 품질관리 진단기준
2.2 정보화 사업 요구사항 작성 예시
제3장 진단사례 및 유의사항
3.1 예방적 품질관리 진단사례
3.2 예방적 품질관리 진단 유의사항
붙임 1. 예방적 품질관리 체크리스트
붙임 2. 사전협의 신청사업 자체검토결과서
품질관리 개념
데이터의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데이터 표준, 구조, 값, 관리체계 등 4개 영역을 관리하는 활동
단계별 품질관리
(5단계 수행) 계획 단계 → 발주 단계 → 설계 단계 → 개발 단계 → 완료단계(테스트, 이행, 전환 추진을 통해 정보시스템 구축 최종 완료)
진단 영역 및 항목
(데이터 표준) 데이터 표준화, 공통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표준 관리 도구 (3개 항목)
(데이터 구조) 데이터 구조 설계, 데이터 구조 검증, 데이터 구조 관리 도구 (3개 항목)
(데이터 값) 데이터 값 검증, 이관 데이터 검증 (2개 항목)
(데이터 관리체계) 데이터 표준 구조 연계 값 관리체계 , 데이터 개방 관리체계 (2개 항목)
▶ 총 4개 영역, 10개 항목으로 구성
정보화 사업 요구사항 작성시 활용 방안
올해 정보화사업을 추진한 사람 또는 행안부로 사전협의 신청을 한 사람이라면, 데이터 관련 확인사항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첨부된 파일 '공공데이터 예방적 관리 진단 가이드'의 18페이지부터 '정보화 사업 요구사항 작성 예시'를 참고하여 사업계획서와 제안요청서에 활용하면 된다.
'정보화 사업 > 사업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PMO) 도입 운영 가이드 2.0 (2021.3월) (0) | 2021.05.01 |
---|---|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 관리 가이드 (2021년 1월) (0) | 2021.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