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의이해3 한국문학의 이해 중간고사 대비,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화영역 기출 정리 [15회] 17. 한국의 신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는 건국신화이다 X 2)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수로는 알에서 태어났다. O 3) 건국신화는 비극적 세계관을 중심 토대로 삼고 있다. X 4) 삼국사기에 따르면 주몽은 풍백, 운사, 우사를 거느리고 지상에 내려왔다. X [14회] 1. 신라시대 향가가 아닌 것은? 1) 혜성가 2) 청산별곡 / 고려가요 3) 우적가 4) 찬기파랑가 4. 가전 작품과 그 작품에서 의인화한 대상의 연결이 옳은 것? 1) - 돈 / 술 2) - 술 / 돈 3) - 지팡이 4) - 사자 / 거북이 5. 판소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 판소리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순으로 빨라진다. 2) 판소리 창자가 본 공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해 부르.. 2021. 4. 8. 한국문학의 이해 2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 1. 상고 시대의 문학 : 집단 → 개인 1) 한국 문학의 태동 : 고려 건국 이전까지의 시기 표현할 말은 있으나 기록할 문자는 없음 신라시대에는 한자를 활용한 한국어 표기법인 향찰 표기 등장, 향가 창작 활발 아시아의 공통 문자였던 한자가 전래되어 한시가 더러 창작되기도 하였음 이 시기의 작품은 구전된 것으로, 그 원형을 밝히기 어려우며, 현재 전해지는 것은 모두 후대에 정리/기록된 것 2) 시가 문학 : 고대 가요(공무도하가, 황조가 > 구지가), 향가, 한시 3) 서사 문학 : 설화(신화, 전설, 민담), 수필 2. 고려시대의 문학 1) 한문학 번성기 : 조선 건국 이전까지의 시기 신라의 쇠락과 함께 향찰 사용 및 향가 창작 또한 쇠퇴 향찰 표기 상실로 인해 한국 문학은 다시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2021. 4. 8. 한국문학의 이해 1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하기 1. 문학교육의 의의에 관한 모델 문화모델 : 소통능력을 향상 언어모델 : 언어의 다양한 쓰임 인간성장모델 : 경험 확대 2.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공통적 견해 형태 : 구전, 기록 작가의 국적 : 한국 작품의 언어 : 한국어 독자의 국적 : 한국 주된 내용 : 한국인의 사상/감정 발표 국가 : 한국 3. 한국 문학의 시대사적 구분 구비문학(고대) 한문학(중세 전기) -------훈민정음 창제------ 국문문학(중세 후기) - 고전문학 - 고전시가 - 고전산문(근대로의 이행기) - 희곡 양식의 판소리 등장 --------갑오개혁(국문 공용)-------- 국문문학(근대) - 근대문학 - 근대시가 - 근대산문 --------사대부의 퇴장과 시민/민중의 등장 ------- 현대문학의 발전 : 근.. 2021. 4.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