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어휘교육론중간고사4

한국어어휘교육론 5강 정리 평가하기 1. 허위 간의 계열 관계 - 유의, 대립, 상하 관계로 구분 - 인지적 부담을 덜어 효과적으로 어휘 학습 가능 - 어휘 사용의 유창성과 정확성 증가 2. 유의 관계, 대립 관계, 상하 관계, 전체/부분 관계 ㅇ 유의 관계의 개념 - 모든 조건에서 유사한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에서는 유사하나 다른 조건에서는 차이점이 있어야 함 동일 문맥에서 교체 가능할 때 개념적 의미가 유사할 때 단, 결합 관계, 사용역 등에서 차이가 있을 때 (예. 쉴 (틈이, 겨를이) / 갈라진 (틈, 겨를X) : 틈은 시공간의 개념, 겨를은 시간의 개념만) - 유의 관계의 유형 - 차용 (같다 / 동일하다, 열쇠 / 키, 고치다/수정하다) - 사회적 변이 (옥수수 / 강냉이) - 성별, 연령 (맘마 / 밥) - 존비 관계 (밥 .. 2021. 4. 6.
한국어어휘교육론 4장 정리 평가하기 1. 단일어와 복합어 - 단일어 : 하나의 어근 / 복합어 : 두 개나 그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파생어, 합성어) - 어근 : 실질적 의미, 중심 부분 / 접사 : 뜻을 더하거나 문법적 의미 - 파생어와 합성어의 구별 : 직접 구성성분에 의한 분석 (예. 코웃음 : 어근 + 어근 / 비웃음 : 어근 + 접사) 2. 단어형성법 ㅇ 파생어 : 어근 + 접사 - 접두사 : 어휘적 의미가 두드러짐, 접두사 뒤에 오는 요소에 의한 품사 결정 예. 군소리,덧버선, 헛디디다, 헛수고 - 접미사 : 의미 더하는 일 이외에 품사를 바꾸기도 함 명사(체언)파생법 : 읽기, 잠, 놀이 동사파생법 : 괴롭히다, 공부하다 형용사파생법 : 가난하다, 걱정스럽다 부사파생법 : 많이, 자연히, 멀리 ㅇ 합성어 : 둘 이상의.. 2021. 4. 6.
한국어어휘교육론 3강 정리 평가하기 1. 용언의 특성 ㅇ 활용 ㅇ 불규칙 활용 - 모든 용언의 어간이 바뀌는 경우 (탈락) 'ㅡ' 탈락 : 예쁘다, 바쁘다 (바빠서, 예뻐서) 'ㄹ' 탈락 : 알다, 살다 (아는 형님) - 개별 용언별 어간이 바뀌는 경우 'ㅅ' 불규칙 : 긋다, 낫다, 잇다 (짓다 > 지어) 'ㄷ' 불규칙 : 듣다, 걷다 (싣다 > 실어) 'ㅂ' 불규칙 : 돕다, 굽다, 눕다 (줍다 > 주어) 'ㄹ' 불규칙 : 고르다, 기르다, 누르다 (부르다 > 불러) - 어미가 바뀌는 경우 '여' 불규칙 : 하다, 생각하다 (하다 > 하여) '러' 불규칙 : 이르다, 푸르다 (이르다 > 이르러) '너라' 불규칙 : 오다 (오다 > 오너라) - 어간, 어미 모두 바뀌는 경우 'ㅎ' 불규칙 : 파랗다(>파래), 하얗다(>하얘서) ㅇ 동사 .. 2021. 4. 6.
한국어어휘교육론 1강 정리, 평가문제 벌써 중간고사 기간이 다가왔더라구요. 한과목씩 중간고사 대비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어어휘교육론 1강부터 정리해 볼게요. 1. 한국어 어휘의 특징 - 첨가어, 조사에 의해 문법 관계를 나타냄 -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가 3종 체계, 유의어 많고, 동음이의어도 많음 - 높임과 겸양 표현 (존함, 저희) - 의성어, 의태어 다양 - 기초어휘에서는 고유어, 전문 어휘에서는 한자어, 외래어(소금/염화나트륨) - 감각어 발달 (붉다, 불그스름하다, 불그죽죽하다) - 친족어 발달 (언니, 오빠, 큰엄마, 고모, 이모) 2. 어휘 교육의 중요성 - 어휘는 의사소통에서 재료와 같은 역할 - 어휘 : 살, 내용, 재료 / 문법 : 뼈, 그릇, 요리 → 문법이 없으면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없지만, 어휘가.. 2021.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