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한국어어휘교육론 1강 정리, 평가문제

by 정복한다_우주 2021. 4. 6.

벌써 중간고사 기간이 다가왔더라구요.

한과목씩 중간고사 대비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어어휘교육론 1강부터 정리해 볼게요. 

 

<정리>

1. 한국어 어휘의 특징 

 - 첨가어, 조사에 의해 문법 관계를 나타냄

 -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가 3종 체계, 유의어 많고, 동음이의어도 많음

 - 높임과 겸양 표현 (존함, 저희)

 - 의성어, 의태어 다양

 - 기초어휘에서는 고유어, 전문 어휘에서는 한자어, 외래어(소금/염화나트륨)

 - 감각어 발달 (붉다, 불그스름하다, 불그죽죽하다)

 - 친족어 발달 (언니, 오빠, 큰엄마, 고모, 이모)

 

2. 어휘 교육의 중요성

 - 어휘는 의사소통에서 재료와 같은 역할

 - 어휘 : 살, 내용, 재료 / 문법 : 뼈, 그릇, 요리

 → 문법이 없으면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없지만, 어휘가 없으면 전혀 통하지 않는다.

 - 기본적인 어휘만으로도 의사소통이 어느정도 가능

 - 어휘를 안다는 것은 소리, 의미, 실제 용법을 아는 것임 

   (콩나물 요금 X : 요금 / 가격)

 

3. 어휘 학습의 요구와 어려움

 - 어휘 학습의 요구 : 언어습득의 시작, 다른 영역에서도 주요한 요소, 언어능력의 발달에 중요, 숙달도가 올라갈 수록 요구가 커짐

 - 어휘 학습의 어려움

  · 어휘 영역의 특성 : 새로운 단어가 끊임없이 만들어진다. (어휘 습득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 언어 간 어휘의 차이 (나이를 먹다 : 영어에서는 X)

  · 음운이나 문법에 비해 어휘 학습량이 많다. 

 

4. 기본적인 개념 및 용어

 - 단어 : 낱낱의 의미 단위, 최소한의 의미 단위, 품사 문법적 단위

 - 어휘 : 단어들의 집합, 단어 포함 관용 표현, 속담 등 넓은 의미

 - 기초어휘 : 일상언어 생활에서 필수적인 1,000 ~ 2,000 개의 어휘

 - 기본어휘 : 특정 목적에 의해 조사, 정리된 어휘 목록 (예. 한국어 교육용 기본 어휘)

 - 이해어휘 : 사용하지 않아도 아는 어휘 

 - 사용어휘 : 말하거나 글을 쓸 때 사용하는 허위 (이해어휘의 1/3 수준)

 - 일반목적 한국어 어휘 

 - 특수목적 한국어 어휘 : 한문 목적, 직업 목적

 - 사고 도구어 : 정의, 개념, 특성, 속성


빨간색 글씨는 평가하기 문제의 답, 밑줄은 평가하기 지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