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고 시대의 문학 : 집단 → 개인
1) 한국 문학의 태동 : 고려 건국 이전까지의 시기
- 표현할 말은 있으나 기록할 문자는 없음
- 신라시대에는 한자를 활용한 한국어 표기법인 향찰 표기 등장, 향가 창작 활발
- 아시아의 공통 문자였던 한자가 전래되어 한시가 더러 창작되기도 하였음
- 이 시기의 작품은 구전된 것으로, 그 원형을 밝히기 어려우며, 현재 전해지는 것은 모두 후대에 정리/기록된 것
2) 시가 문학 : 고대 가요(공무도하가, 황조가 > 구지가), 향가, 한시
3) 서사 문학 : 설화(신화, 전설, 민담), 수필
2. 고려시대의 문학
1) 한문학 번성기 : 조선 건국 이전까지의 시기
- 신라의 쇠락과 함께 향찰 사용 및 향가 창작 또한 쇠퇴
- 향찰 표기 상실로 인해 한국 문학은 다시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구전으로 회기
- 고려 건국 이후 호족 세력 견제용으로 한자 수용 및 과거제 도입
→ 결과적으로 한국인의 감정과 사상을 한국 작가가 한자로 표현한 한문학 융성
2) 시가 문학 : (향가계여요), 고려가요, 경기체가, 시조, 한시
3) 서사 문학 : 한문 산문, 패관 문학, 가전체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문학의이해 4강 중간고사대비 정리 (0) | 2021.04.08 |
---|---|
한국문학의 이해 3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 (0) | 2021.04.08 |
한국문학의 이해 1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하기 (0) | 2021.04.08 |
한국어어휘교육론 5강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한국어어휘교육론 4장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