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이해 중간고사 대비,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화영역 기출 정리

by 정복한다_우주 2021. 4. 8.

[15회]

17. 한국의 신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락국기> <바리공주>는 건국신화이다 X

2)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수로는 알에서 태어났다. O

3) 건국신화는 비극적 세계관을 중심 토대로 삼고 있다. X

4) 삼국사기에 따르면 주몽은 풍백, 운사, 우사를 거느리고 지상에 내려왔다. X

 

[14회]

1. 신라시대 향가가 아닌 것은?

1) 혜성가

2) 청산별곡 / 고려가요

3) 우적가

4) 찬기파랑가

 

4. 가전 작품과 그 작품에서 의인화한 대상의 연결이 옳은 것?

1) <국순전> - 돈 / 술

2) <공방전> - 술 / 돈

3) <정시자전> - 지팡이

4) <청강사자현부전> - 사자 / 거북이

 

5. 판소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 판소리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순으로 빨라진다.

2) 판소리 창자가 본 공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노래를 잡가라고 한다.

3) 판소리 공연에서 창자는 창과 아니리를, 고수는 발림과 추임새를 한다.

4) 18세기 유진한은 판소리 12마당에 <콩쥐팥쥐>를 포함하였다. 

 

6. 조선시대 평시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1) 4음보 3행시의 정형적 틀을 가진다.

2) 종장의 제4음보는 평서형 어미를 통해 여운을 준다.

3) 평시조를 노래로 부르는 방법에는 가곡창과 시조창이 있따.

4) 작가로는 윤선도, 김천택, 안민영 등이 있다. 

 

[13회]

17. 걸인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연암 박지원의 작품은?

1) 예덕선생전

2) 광문자전

3) 허생전

4) 호질

 

[12회]

19. 판소리계소설이 아닌 것은?

1) 심청전

2) 콩쥐팥쥐전

3) 배비장전

4) 옹고집전

 

[11회]

3. 판소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 진양조에서 휘모리까지 여러 장단의 효과를 두루 활용했다.

2) 아니리는 창이 아니라 말하듯이 연행하는 것이다. 

3) 발림은 작중인물의 행위를 몸짓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4) 신재효에 의해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토별가, 적벽가의 다섯 바탕으로 정리되었다. 

 

8. 임진왜란 이후 소설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1) 전란으로 인한 가족의 이합집산을 다룬 최척전과 같은 작품이 읽혔다.

2) 구운몽, 사씨남정기가 규방 여성과 사대부들에게 읽혔다.

3) 난중에 죽은 영혼과의 사랑을 그린 <이생규장전> 과 같은 한문소설이 창작되었다.

4) 민족적 울분을 상상의 세계에서 해소해주는 박씨전과 같은 작품이 창작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