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 산문 문학 전성시대>
1. 양란 이후 조선 후기의 시대적 상황
1) 정신적 충격
- 왕조 체제의 한계 체감
- 양반 귀족 계층의 무력감 절감
- 잠든 지성의 발견
2) 서민 의식 성장
- 현실자각 (삶을 스스로 지켜야 함)
- 의병 봉기 및 민란의 속출
- 비판 의식 고조 및 실학사상 발현
2. 조선 후기 문학사적 특성
1) 조선 전기
- 귀족 중심의 상류층 문학
- 태평 성대의 강호시가적 특성
- 관념적, 이념적
- 숭고미, 우아미, 비장미(경건함)
* 김시습 한문소설 <금오신화>
------------------<양란 이후>------------------
2) 조선 후기
- 향유층 확대 및 평민 문학 대두
- 문학의 사회비판적 기능 확대
- 일상적, 현실적
- 희극미, 골계미(풍자와 해학)
허균 <홍길동전> : 최초 한글 소설, 사회 현실 바탕 김만중 <구운몽>, <사씨남정기> : 허균 소설과 조선후기 실학 문학 이어주는 가교 조성기 <창선감의록> 박지원의 한문소설 : 사회 참여 문학 <양반전> <호질> <허생전> |
3. 조선 후기의 시가/서사 문학 : 시조(사설시조), 가사(길어진 가사), 소설(산문 발달), 극(판소리)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문학의 이해 중간고사 대비,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화영역 기출 정리 (0) | 2021.04.08 |
---|---|
한국문학의이해 5강 중간고사대비 정리 (0) | 2021.04.08 |
한국문학의 이해 3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 (0) | 2021.04.08 |
한국문학의 이해 2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 (0) | 2021.04.08 |
한국문학의 이해 1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하기 (0) | 2021.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