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이해 4강 중간고사대비 정리

by 정복한다_우주 2021. 4. 8.

<조선 후기 : 산문 문학 전성시대> 

1. 양란 이후 조선 후기의 시대적 상황

1) 정신적 충격                                   

  • 왕조 체제의 한계 체감
  • 양반 귀족 계층의 무력감 절감
  • 잠든 지성의 발견

2) 서민 의식 성장

  • 현실자각 (삶을 스스로 지켜야 함)
  • 의병 봉기 및 민란의 속출
  • 비판 의식 고조 및 실학사상 발현

 

2. 조선 후기 문학사적 특성

1) 조선 전기

  • 귀족 중심의 상류층 문학
  • 태평 성대의 강호시가적 특성
  • 관념적, 이념적
  • 숭고미, 우아미, 비장미(경건함)

* 김시습 한문소설 <금오신화>

 

------------------<양란 이후>------------------

2) 조선 후기

  • 향유층 확대 및 평민 문학 대두
  • 문학의 사회비판적 기능 확대
  • 일상적, 현실적
  • 희극미, 골계미(풍자와 해학)
허균 <홍길동전> : 최초 한글 소설, 사회 현실 바탕
김만중 <구운몽>, <사씨남정기> : 허균 소설과 조선후기 실학 문학 이어주는 가교 
조성기 <창선감의록>
박지원의 한문소설 : 사회 참여 문학 <양반전> <호질> <허생전>

 

 

3. 조선 후기의 시가/서사 문학 : 시조(사설시조), 가사(길어진 가사), 소설(산문 발달), 극(판소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