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1. 문학교육의 의의에 관한 모델
- 문화모델 : 소통능력을 향상
- 언어모델 : 언어의 다양한 쓰임
- 인간성장모델 : 경험 확대
2.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공통적 견해
- 형태 : 구전, 기록
- 작가의 국적 : 한국
- 작품의 언어 : 한국어
- 독자의 국적 : 한국
- 주된 내용 : 한국인의 사상/감정
- 발표 국가 : 한국
3. 한국 문학의 시대사적 구분
- 구비문학(고대)
- 한문학(중세 전기)
-------훈민정음 창제------
- 국문문학(중세 후기) - 고전문학 - 고전시가
- - 고전산문(근대로의 이행기)
- - 희곡 양식의 판소리 등장
--------갑오개혁(국문 공용)--------
국문문학(근대) - 근대문학 - 근대시가
- 근대산문
--------사대부의 퇴장과 시민/민중의 등장 -------
현대문학의 발전 : 근대 민족 문학 확립 및 서양 문학의 주체적 계승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문학의 이해 3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 (0) | 2021.04.08 |
---|---|
한국문학의 이해 2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 (0) | 2021.04.08 |
한국어어휘교육론 5강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한국어어휘교육론 4장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한국어어휘교육론 3강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