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한국어어휘교육론 5강 정리 평가하기

by 정복한다_우주 2021. 4. 6.

1. 허위 간의 계열 관계

 - 유의, 대립, 상하 관계로 구분

 - 인지적 부담을 덜어 효과적으로 어휘 학습 가능

 - 어휘 사용의 유창성과 정확성 증가

 

2. 유의 관계, 대립 관계, 상하 관계, 전체/부분 관계

 ㅇ 유의 관계의 개념 

    - 모든 조건에서 유사한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에서는 유사하나 다른 조건에서는 차이점이 있어야 함

      동일 문맥에서 교체 가능할 때

      개념적 의미가 유사할 때

      단, 결합 관계, 사용역 등에서 차이가 있을 때

      (예. 쉴 (틈이, 겨를이) / 갈라진 (틈, 겨를X) : 틈은 시공간의 개념, 겨를은 시간의 개념만)

   - 유의 관계의 유형

     - 차용 (같다 / 동일하다, 열쇠 / 키, 고치다/수정하다)

     - 사회적 변이 (옥수수 / 강냉이)

     - 성별, 연령 (맘마 / 밥)

     - 존비 관계 (밥 / 진지)

     - 금기 (변소 / 뒷간 / 화장실)

     - 글말/ 입말 환경 (매우 / 되게)

     - 사용역 (소금을 먹다 / 염분 섭취)

 - 교수 방안

   예문 대체 (개를 기르다/키우다, 머리를 기르다/키우다 X)

   정도의 차이 (무덥다-덥다-따뜻하다-시원하다-선선하다-서늘하다-쌀쌀하다-춥다)

   연어 관계의 차이  (연극 관객, 미술관 관람객, 스포츠 관중)

 - 유의사항 

   순차적 제시

   고빈도 목록에서 선정

 ㅇ 대립관계 : 의미적 동질성과 배타성을 동시에 갖는 어휘

    - 반의 관계 성립 조건 

      동질성 조건 : 동일의미 영역, 동일 어휘 범주

      이질성 조건 : 대조적 배타성

   - 대립어 유형

      상보 대립어 : 상호 배타적 (여자 / 남자)

      정도 대립어 : 중간 단계 존재 (덥다 / 춥다) 

      방향 대립어

      부정 대립어

      사회문화적 대립어

   - 교수방안 

     순차적으로 교수한다. 

     문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 전체의 제시가 필요하다 

     복수로 제시할 수 있다 (당기다 / 늦추다, 미루다, 연기하다)

     반의어가 여러 개 있을 수 있다

     어휘적 빈칸이 있을 수 있다

     친족어 대립어는 보통 성별 관계를 우선

     방향 대립어는 가다 / 오더에 초점을 두어 제시

     품사가 다르면 원칙적으로 대립어로 제시하지 않으나, 용언의 경우 일부 제시 가능 (젊다 / 늙다)

 ㅇ 상하관계

   - 상위어 : 일반적, 포괄적 / 하위어 : 구체적, 특수 의미

   -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지지만 언어 교육에서는 확대해서 포함할 수 있다.

   - 동물-개, 운동-축구, 자연-산

 ㅇ 전체/부분 관계 : 얼굴-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