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일어와 복합어
- 단일어 : 하나의 어근 / 복합어 : 두 개나 그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파생어, 합성어)
- 어근 : 실질적 의미, 중심 부분 / 접사 : 뜻을 더하거나 문법적 의미
- 파생어와 합성어의 구별 : 직접 구성성분에 의한 분석
(예. 코웃음 : 어근 + 어근 / 비웃음 : 어근 + 접사)
2. 단어형성법
ㅇ 파생어 : 어근 + 접사
- 접두사 : 어휘적 의미가 두드러짐, 접두사 뒤에 오는 요소에 의한 품사 결정
예. 군소리,덧버선, 헛디디다, 헛수고
- 접미사 : 의미 더하는 일 이외에 품사를 바꾸기도 함
명사(체언)파생법 : 읽기, 잠, 놀이
동사파생법 : 괴롭히다, 공부하다
형용사파생법 : 가난하다, 걱정스럽다
부사파생법 : 많이, 자연히, 멀리
ㅇ 합성어 : 둘 이상의 어근, 감싸다
ㅇ 기타
- 두음절어 : 개콘, 강추
- 혼성어 : 썩소(썩은 미소)
- 절단어 : 훨(훨씬), 컴(컴퓨터)
- 축약어 : 젤(제일), 그럼(그러면)
3. 복합어 교수의 중요성 및 교수 시 고려사항
ㅇ 파생어 교수
- 단어 예측할 때 도움이 됨
- 접미사의 경우 품사 전성에 대해 교수 가능
- 생산성이 강한 접사 목록 교수 (-님, -하다)
- 유사 의미 접사 변별 (홑- / 홀-, 미- / 비-), 반의어에 대한 교수 필요, 국어사전 활용 참조
ㅇ 합성어 교수 : 합성어와 구의 구별이 쉽지 않음
- 생산성이 있는 조어에 대한 교수 중요 (-버스)
- 비유적 표현으로 의미가 불투명 (가시방석, 바보상자)
4. 복합어 교수의 쟁점
ㅇ 교수 자료 선택 : 파생어는 사전 등재가 원칙이나, 모든 파생어가 오르는 것은 아님 (선생, 선생님 / 사장, 사장님)
ㅇ 복합구 교수 : 띄어 쓰더라도 한 단어처럼 인식 (학교생활, 가정생활 / 회사 생활, 직장 생활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문학의 이해 1강 중간고사 대비 정리하기 (0) | 2021.04.08 |
---|---|
한국어어휘교육론 5강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한국어어휘교육론 3강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한국어어휘교육론 2강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한국어어휘교육론 1강 정리, 평가문제 (0) | 2021.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