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어 품사의 정의 및 분류기준
ㅇ 품사의 정의 : 형태(형식), 기능(직능), 의미에 따라 나눈 분류
ㅇ 분류 기준 : 9품사
- by 형태 : 가변어 (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 '이다')
불변어 (가변어 제외 전체)
- by 기능 : 체언 (뼈대가 되는 자리 : 명사, 대명사, 수사)
관계언 (다른말과의 관계 : 조사)
용언 (서술하는 기능 : 동사, 형용사)
수식언 (다른 말을 꾸며줌 :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 by 의미 :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2. 체언의 특성
ㅇ 명사 : 사물의 이름
- 명사 뒤에는 조사가 붙는다.
- 고유명사 : 문화 어휘 (경복궁, 이순신)
- 보통명사 : 일반명사 (구체명사, 추상명사 : 구체명사는 유정명사, 무정명사)
* 유정명사와 무정명사의 구분은 조사 선택이 달라짐
(예. 꽃에게 물을 준다 X 꽃에 물을 준다 O)
- 자립명사
- 의존명사 : 덩어리 표현( ~(으)ㄹ 리가 없다에서 '리'는 '없다'와만 결합)
* 의존명사의 제약
- 명사의 성, 인칭에 따른 관형사나 서술어와의 일치 현상이 없으므로, 이에 관련되는 학습에는 어려움이 없음
- 교수시 유의점 : 허위군을 동시에 제시하는 방법, 연어 단위로 교수(농구를 하다 O, 농구를 놀다 X)
ㅇ 대명사 : 명사 대신
- 인칭대명사 : 1인칭(나, 우리, 저, 저희), 2인칭(너, 자네, 당신, 귀하), 3인칭(그, 그녀), 미지칭(누구), 부정칭(아무)
- 교수시 유의점 : 맥락에 맞게 사용(자네, 귀하),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알 수 있는 경우 지칭 생략될 수 있음
ㅇ 수사 : 수량이나 순서
- 양수사
- 서수사
3. 수식언의 특성
ㅇ 관형사 : 형태 변화 없이 체언 수식
- 종류 : 성상 (새, 헌) / 지시 (이, 그) / 수 (한, 열두, 여러)
- 순서 : 지시 → 수 → 성상 (예. 이 두 헌 옷)
- 수 관형사 : 단위 명사와 관련됨 (한 그릇, 한 접시, 열두 마리)
- 교수시 유의점 : 수 관형사 + 단위 명사, 순서
ㅇ 부사 : 형태의 변화 없이 용언과 다른 부사 수식
- 성분부사
- 문장부사 : 양태부사(설마, 만일, 솔직히), 접속부사(그래서)
- 용법 : 용언을 꾸며주나, 때로는 다른 부사나 명사를 꾸미기도 함
- 교수시 유의점 : 문장의 필수적 요소는 아니지만, 유창성에 도움을 준다, 연어 관계 주목 (아이가 방긋방긋, 개가 멍멍)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어휘교육론 5강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
한국어어휘교육론 4장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한국어어휘교육론 3강 정리 평가하기 (0) | 2021.04.06 |
한국어어휘교육론 1강 정리, 평가문제 (0) | 2021.04.06 |
세종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편입, 미래를 위한 준비 (1) | 2021.03.22 |
댓글